[스크랩] 한국무용의 기본 춤사위 및 용어
1. 한국무용의 기본
한국무용에서의 기본적인 운동방향이나 위치를 보다 선명하고 자세나 동작의 지시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발레에서 제시 활용되고 있는 방향선을 그대로 적용하기로 한다.
가. 발의 기본위치
<발1번> 양발의 발뒤축을 서로 마주 붙이고 발끝을 밖으로 향하도록 하며 약 60도 가량 벌려 놓은 자세이다.
<발 2번> <발1번>의 위치에서 한 발은 옆으로 넓혀 놓은 위치이다.
<발3번> 이것은 <발1번>위치에서 한쪽 발의 발뒤축을 다른 발의 안쪽 복사뼈 앞에 붙여 놓은 자세이다.
<발4번> <발1번>위치에서 또는 <발3번> 위치에서 한쪽 발을 옆으로 내어 디딘 자세이다.
<발5번> <발1번>위치에서 한발의 발뒤축을 다른 편의 발 엄지 안쪽 가에 가볍게 붙여 놓은 위치이며 양발 끝의 방향은 <발1번>에서의 각도와 같다.
나. 발의 동작
1) 딛기 : 뒤꿈치 딛기와 앞꿈치 딛기의 두 가지가 있다.
2) 떼기 : 뒤꿈치부터 들어 올려 발끝을 마루에서 떼면서 발목을 꺾어 발끝은 위로 향하게 하는 동작을 말한다.
3) 들기 : 지면으로부터 한층 높이 들어 올린 발이다.
4) 걷기 : 걷기는 딛기의 발전으로서 발을 옮겨 중심이 이동되는 것을 의미하며 뒤꿈치 또는 앞꿈치부터 딛는 방법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5) 전주기 : 한국무용에서의 특징적인 동자긍로서 제자리에서 전신의 동작이나 스텝이 잠시 머물듯이 반복되는 경우를 말하며 발의 동작은 세가지 유형을 가지고 있다.
가) 한발딛기 : 제자리에서 떼기의 동작을 한발로 반복하는 동작을 말한다.
나) 전주며 딛기 : 한쪽 발을 디디며 동시에 다른 발을 끌어 복숭아 뼈에 살짝 대듯이 모으고 다시 한발 내딛는 동작이다.
다) 곱전주며 딛기 : 한쪽 발을 앞으로 내어 딛으며 동시에 다른 발을 복숭아뼈 가까이에 살짝 끌어 모으고 다시 반복된 다음 발을 바꾸어 한다. 이것을 투우스텝의 요령과 같다.
다. 발목의 동작
1) 발목 꺾기 : 발목 꺾기는 굽혀서 발등 발끝을 위로 올리는 것을 말하며 발목을 꺾는 각도는 자유롭다.
2) 발목 펴기 : 발목에서 발끝까지 곧게 뻗어서 펴는 것을 말하며 이는 마루위에서 펼 수 있고 공중에서 펼 수도 있다.
3) 발목안으로 꺾기 : 한편 발을 앞으로 내어 놓고 안으로 밖으로 발끝 방향을 꺾어 바꾸어 놓은 동작이다.
4) 발목 안팎 꺾기 : 한편 발을 앞으로 내어 놓고 안으로 밖으로 발끝 방향을 꺾어 바꾸어 놓은 동작이다.
5) 발목 돌리기 : 발목을 안으로 또는 밖으로 돌리는 동작이다.
라. 무릎의 굴신
굴신단계에서의 무릎의 방향은 양발을 마루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앞으로 안으로, 밖으로 굴신할 수 있다.
① 잔구비 ② 평구비 ③ 큰구비 ④ 앉은 구비
⑤ 앞구비 ⑥ 뒷구비 ⑦ 옆구비 ⑧ 엇구비
마. 엉덩이의 동작
1) 엉덩이 빼기 : 엉덩이를 뒤쪽으로 내는 동작
2) 엉덩이 틀기 : 엉덩이를 빼는 듯이 하다가 허리에서 트는 동작
3) 엉덩이 흔들기 : 좌우로 이동시키는 동작
바. 상체의 동작
1) 바로 서기 : 상체를 똑바로 곧게하여 세우고 양팔을 밑으로 내리고 서있는 동작
2) 앞으로 굽히기 : 상체 앞으로 굽히기, 허리 굽히기
3) 바로 펴기 : 앞으로 굽히기에서 바로 서기로 되돌아 오는 동작
4) 가슴 젖히기 : 젖히기는 상체의 가슴 위쪽을 뒤로 늘려 펴듯이 젖히는 동작
5) 가슴 모으기 : 팔과 어깨를 안쪽으로 오므리면서 가슴이 오므라들도록 하는 동작
6) 가슴 펴기 : 젖히기 보다는 가슴을 옆으로 펴면서 등이 뒤로 오므라지도록 하는 동작
7) 상체 틀기 :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들어 돌려 놓는 동작
8) 허리 꺾기 :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허리에서 위쪽 부분을 옆으로 굽히는 동작
9) 허리 돌리기 : 오른쪽 왼쪽으로 원을 그리면서 돌리는 동작
10) 어깨 돌리기 : 양쪽 어깨를 위쪽으로 올리고 내리는 동작
11) 엇바꾸어 어깨올리기 : 엇바꾸어 올라가는 양 어깨를 교대로 올리는 동작
12) 어깨 틀기 : 양 어깨를 앞 또는 뒤로 트는 동작
13) 목 돌리기 : 오른쪽, 왼쪽, 목 휘돌리기
사. 팔의 기본위치
팔의 기본위치는 팔과 자세라고도 할 수 있으며 한국무용에 있어 가장 다양하다.
자. 몸의 기본 방향
차. 기본걸음
기본걸음은 뒤꿈치 또는 앞꿈치로 걷기의 두가지 방법이다.
1) 평걸음
2) 늦춘 걸음
3) 잔 걸음
4) 총총 걸음
5) 까치 걸음
6) 깨끼 걸음
7) 옆치기 걸음
8) 가재 걸음
9) 꼬기 걸음
10) 성큼 걸음
카. 돌기
1) 연풍대
2) 명석말이
3) 기둥 돌이
4) 방석 돌이
5) 맴돌이
6) 구슬돌이
7) 엇바꾸어 구슬돌이
8) 팽이돌이
타. 뛰기
1) 다지기
2) 전주며 다지기
3) 디딤방아
4) 그네뛰기
5) 널 뛰기
6) 활개 치기
7) 깨끼발 뛰기
V. 한국무용의 기본 용어
지금까지 우리 무용인들은 오랫동안 자기 나름대로 춤을 만들어 왔으며 그 춤을 만들 때는 어떤 내용의 줄거리나 뜻이 깃든 것을 주제로 작품화하여 춤을 추어 왔다. 알아두어야 할 몇가지 기초적인 것부터 시작해 보기로 하자.
1. 알아두어야 할 점
가. 춤은 흥이 있어야 한다.
나. 춤은 힘이 있어야 한다.
다. 춤은 한이 있어야 한다.
라. 춤은 무게가 있어야 한다.
마. 춤은 한배가 있어야 한다.
바. 춤은 비정비팔이어야 한다.
2. 알아두어야 할 용어
가. 사위 : 동작을 말한다.
나. 가락 : 리듬을 뜻한다.
다. 체 : 체는 식을 말한다.
3. 특수 명칭의 호
가. 언어 두법
1) 두 : 머리(얼굴)
2) 수 : 손과 팔
3) 신 : 몸 전체
4) 족 : 발
5) 험 : 절한다는 뜻
6) 앙 : 마주본다
7) 엉 : 오무린다
8) 외 혹은 우 : 오른쪽
9) 좌 : 왼쪽
10) 전 : 앞으로 나간다
11) 활 : 사선으로 양팔을 올려든다
12) 세 : 모양(동적으로 움직일 때)
13) 체 : 모양(정적으로 움직일 때)
14) 암 : 손을 마주 잡는다
15) 인 : 양팔을 몸에 감아 붙인다
16) 향 : 향한다 혹은 본다
17) 엇 : 옆으로 살짝 비킨다
18) 퇴 : 뒤, 뒤쪽으로 들어간다
19) 내 : 안으로 들어간다
20) 선 : 베푼다는 뜻으로 앞으로 팔 하나를 넌지시 드는 것
나. 예법
1) 험두 : 머리를 굽혀 절하는 것
2) 험수 : 손을 들어 절하는 것
3) 앙수 : 손을 마주잡고 머리와 허리를 굽혀 절하는 것
4) 거수 : 두손을 들어올리고 절하는 것
5) 험신 : 허리를 굽혀 앉으며 절하는 것
6) 험족 : 발을 모아 절하는 것
7) 수환, 수호 : 손을 제켜들면 수환, 손을 엎어서 들면 수호라고 한다.
8) 수상, 수하 : 팔을 들때 손목이 꺾이는 강태로 들면 수상, 손을 뚝 떨어뜨려 들면 수하다
다. 사위법
1) 열사위 : 팔을 앞에서 뒤로 재키는 것
2) 업사위 : 팔을 뒤에서 들어 올려 앞으로 넘겨서 내리는 것
3) 홀사위 : 팔을 한쪽만 움직이는 것
4) 겹사위 : 팔을 양쪽 한꺼번에 쥐고 절하는 것
5) 쌍사위 : 똑같은 동작을 두번 계속하는 것
6) 선거 : 팔을 들어올리다
7) 수제거 : 수는 손이니 손을 내린다
8) 수제하 : 손을 완전히 내린다